반응형

안녕하세요 608

[CentOS] 파일과 디렉터리 구조 [트리구조]

Linux의 파일 유형 Directory 파일 - [d] 디바이스 파일 링크 파일 - [l] 입출력 장치 디바이스 파일 - [c] 저장 장치 디바이스 파일 - [b] 일반 파일 - [-] Linux의 디렉터리 구조 / - 루트 디렉토리 모든 디렉토리는 최상위 디렉토리 즉, 루트 디렉토리의 하위에 존재 주의 : /root와 혼동하지 말 것. => /root 디렉토리는 root 계정의 Home 디렉토리 /bin - 바이너리 명령어 [root 계정 및 일반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명령어 보관 디렉토리] /snin - 시스템 바이너리 명령어 [root 계정만 사용 가능한 명령어 보관 디렉토리] [Root 계정은 해당 명령어 사용 가능]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 후, 해당 명령어 사용 불가] /boot - 부팅 ..

IT/ㄴ Linux 2023.06.29

[CentOS] nmcli

nmcli networking on - 스냅샷으로 복원 후, 잘 사용했던 Interface ens33 가 사라져서 찾은 명령어 Interface가 사라지는 이유는 모르겠다;; lo / virbr0 두 개의 Interface만 존재했다가 명령어 입력 후 Ens33 / lo /virbr0 세 개로 늘어난 것 확인 ================================================= 테스트로 다시 스냅샷 돌리고 상태 확인 nmcli device show에서 찾은 ens33 상태 nmcli networking on 다시 입력하여 다시 상태 확인해본 결과, 연결됨으로 변경 확인 ifdown 과의 차이점이 궁금하여 아래 해당 Interface 입력 [관리되지 않음] 이 아니라 [연결 끊겼음] 으..

IT/ㄴ Linux 2023.06.29

[CentOS] 점검 명령어 정리 [df / top / free / netstat / Log File 보기]

명령어 df df -hT = 'h'uman이 알아보기 쉬운 Size 표기 및 Type 표기 사용률 90% 이상일 때, 기재 부록 - 명령어 du 특정 디렉토리 기준 디스크 사용량 확인 du -h 명령어 top a. 구동 시간 표기 = 약 23시간 소요 / users 2명 / load average 1분 | 5분 | 15분 b. 수행 프로세스 = 총 202개의 프로세스 수행 / 1개의 프로세스 실행 c. CPU 사용률 1) us : 사용자 레벨의 CPU 사용 비중 2) sy : 시스템 레벨의 CPU 사용 비중 3) ni : 우선순위가 낮은 프로세스의 CPU 사용 비중 4) id : 유휴 상태의 CPU 사용 비중 5) wa : I/O를 대기 중인 CPU 사용률 6) hi : interrupt handler에..

IT/ㄴ Linux 2023.06.29

[Mac] Apple M2에서 GNS3 기초 설정

Mac M2에서 GNS3 사용하기 개인 노트북으로 Mac을 사용 중인데, GNS3로 LAB 환경을 만들고 싶어서, 관련 내용을 찾아서 정리해보았다. 준비물 : Vmware Fusion 13 GNS3 ARM VM & 그에 맞는 버전의 GNS3 아래 주소에서 Vmware Fusion 13 다운로드 및 실행 https://customerconnect.vmware.com/en/evalcenter?p=fusion-player-personal-13 다운로드 할때, 라이센스 정보에 나오는 키 저장 필요 [설치 시 입력 필요] 아래 주소에서 두 개의 파일 다운로드 https://github.com/GNS3/gns3-gui/releases/tag/v2.2.38 설치 과정 * 사진 속 빨간색 테두리 확인하여 추가 설명과 ..

IT/ㄴ Mac 2023.06.29

[AWS] AWSome Day 늦은 후기

AWS CLF-C01 취득 후, 잠깐 손 놓고 있으니 금새 많이 까먹게 된다. AWS SAA-C03을 바로 취득하려고 했는데, 일정상 잠시 미루게 되었다. 그마나 간신히 붙잡고 알고 있던 내용을 바로 활용하지 못 한게 아쉽다. 자격증을 취득한 사실마저 잊어버릴 때 즈음 AWSome Day를 알게 되어 신속하게 등록했다. AWSome Day 이름 하나는 잘 지었다고 생각하는데, 자꾸만 어떤 유튜브 채널의 영상이 생각난다.. 어썸..! 강연 목록을 보아하니 AWS의 전반적인 서비스를 소개하는 시간처럼 보였다. CLF-C01 공부할 때, 계속 반복해서 봤던 내용들이라 나름 친숙해서 기대가 되었다. 나는 9시부터 12시까지 들었다. 아침부터 일찍 일어나서 온라인 컨퍼런스를 들어보고 싶었다. 5개의 세션 모두 P..

IT/Cloud 2023.06.29

[AWS CLF-C01] AWS Cloud Practitioner - C01 정리 및 후기 feat. 최신 근황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부랴부랴 클라우드 자격증을 준비했다. 취득은 4월달에 해놓고 블로그 개설과 함께 내가 살아온 흔적들을 하나씩 정리하던 중 나도 남들처럼 자격증 후기를 적어볼까한다. 누가 볼까 싶지만, 일기 내지는 소장용으로 적어본다. 1. SAA, CLF 둘 중 누구를 먼저? 솔직히, 돈 좀 더 내고, 좀 더 많이 자주 보고, 신경 좀 더 써서 SAA를 취득할 수도 있으나 클라우드 분야는 처음이기도하고, 밟아 올라가야하는 계단이라면 하나 하나 천천히 올라가고 싶었다. 그래서 CLF-C01을 선택했다. * 추가 - AWS SAA-C03을 취득하였다. 관련 내용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AWS SAA-C03] 2주만에 SAA-C03 취득하기 [결국 공부를 해야한다] [AWS SAA..

IT/Cloud 2023.06.29

[CISCO] Remote Access 하기 [Telnet / SSH]

2020년 국비지원 교육 내용 정리 Remote Access 1. Telnet - Internet망을 매개체로 TCP 23번을 사용하여 원격지의 통신장비로 접속 시 사용한다. - 하지만 Telnet은 모든 데이터를 plain-text으로 전송하기때문에 보안에 취약한다. * Telnet으로 접속 후, Wireshark에서 확인해보면 어떤 명령어를 기입했는지 모두 알 수 있다. - 이처럼 보안에 취약하다. 2. SSH - Telnet 접속시 모든 데이터가 plain-text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보완하기위해서 개발된 Protocol - TCP 22번으로 사용하며 접속 시 , 접속 후 교환되는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 및 인증을 사용 - RSA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 Key를 생성..

IT/ㄴ Cisco 2023.06.28

[AWS CLF-C01] 마이그레이션 및 혁신 그리고 클라우드 여정

1. AWS Cloud Adoption Framework (AWS CAF) - 6가지 초점 영역(관점)으로 구성 비지니스 기능 중점 비지니스 관점 인력 관점 거버넌스 관점 기술 역량 중점 플랫폼 관점 보안 관점 운영 관점 1) 비니지스 관점 - IT가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반영 / IT 투자가 주요 비즈니스 결과와 연계되도록 보장 - 재무 관리자 / 예산 소유자 / 전략 이해당사자 2) 인력 관점 - 클라우드 채택을 성공하기 위한 조직 전반의 변화 관리 젼략 개발 지원 - 인사 관리 / 인력 배치 / 인력 관리자 3) 거버넌스 관점 - IT 전략이 비즈니스 전략에 부합하도록 조정하는 기술 및 프로세스에 중점 - 최고 정보 책임자 / 프로그램 관리자 / 엔터프라이즈 아키텍트 4) 플랫폼 관점 - 클라우드를..

IT/Cloud 2023.06.28

[AWS CLF-C01] 요금 및 지원

1. AWS 프리티어 - 지정된 기간 동안 비용을 신경 쓸 필요 없이 특정 서비스 사용 가능 - 상시 무료 모든 AWS 고객에게 제공 예시) AWS Lambda – 매월 무료 요청1백만 건과 최대 320만초의 컴퓨팅 시간 사용 가능 Amazon DynamoDB – 매월 25GB의 무료 스토리지 사용 가능 - 12개월 무료 AWS에 처음 가입한 날로부터 12개월 동안 무료 제공 - 평가판 특정 서비스를 활성화한 날짜부터 시작 예시) Amazon Inspetor – 90일 무표 평가판 제공 Amazon Lightsail – 30일 동안 750시간의 무료 사용 기간 제공 2. AWS 요금 개념 - 종량제 요금으로 서비스 제공 - 실제 사용한 만큼만 지불 / 예약하는 경우 비용 감소 / 사용량 증가 시 단위 비..

IT/Cloud 2023.06.28

[AWS CLF-C01] 모니터링 및 분석

1. Amazon CloudWatch - 다양한 지표를 모니터링 및 관리 / 해당 지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보 작업 구성 - 지표를 사용하여 리소스의 데이터 포인트 표시 - AWS 서비스는 지표를 CloudWatch로 전송하여, CloudWatch가 이 지표를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성능의 변화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자동 생성 - 미국 동부(버지니아 북부) 리전 = 결제 지표 데이터 저장소 - CloudWatch 경보 지표의 값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상회, 하회할 경우 자동으로 작업 수행하는 경보 생성 CPU 사용률이 지정된 기간 동안 특정 임계값 미만으로 유지시, Amazon EC2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중지하는 CloudWatch 경보 생성 가능 - CloudWatch 대시보드 단일 위치에서 ..

IT/Cloud 2023.06.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