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mcli networking on
- 스냅샷으로 복원 후, 잘 사용했던 Interface ens33 가 사라져서 찾은 명령어
Interface가 사라지는 이유는 모르겠다;;
![](https://blog.kakaocdn.net/dn/ChdGg/btslLATK6Ul/OkObNKRMBdMrBkkKCNwSSk/img.png)
lo / virbr0 두 개의 Interface만 존재했다가 명령어 입력 후
Ens33 / lo /virbr0 세 개로 늘어난 것 확인
=================================================
테스트로 다시 스냅샷 돌리고 상태 확인
nmcli device show에서 찾은 ens33 상태
![](https://blog.kakaocdn.net/dn/o2aRM/btslKCYKEqO/ZGERwZdn19iF6IAlI6yTyK/img.png)
nmcli networking on 다시 입력하여 다시 상태 확인해본 결과, 연결됨으로 변경 확인
![](https://blog.kakaocdn.net/dn/z4uWy/btslMViNNPu/Qoa7Rl7J9euF1kkmmjD1j1/img.png)
ifdown 과의 차이점이 궁금하여 아래 해당 Interface 입력
[관리되지 않음] 이 아니라 [연결 끊겼음] 으로 상태 전환
nmcli d에서도 마찬가지
![](https://blog.kakaocdn.net/dn/oeEJK/btslKlb0jnK/E3WGjEd3b7skelHu2dExik/img.png)
다시 interface 상태 up으로 변경하니 [연결됨]으로 상태 전환
![](https://blog.kakaocdn.net/dn/r35ot/btslGAOryEz/cKb0IqLB8V0KVjSZZqWqPk/img.png)
다시 nmcli networking off를 이용하여 [관리되지 않음] 으로 변경하여 재 테스트
![](https://blog.kakaocdn.net/dn/ewrov1/btslLBkOo6P/z4tys23sesHwfpLuZKfkuk/img.png)
이 상태에서 바로 ifup 명령어를 이용하여 up 시키려고 했으나 불가
![](https://blog.kakaocdn.net/dn/RtyjM/btslKecIAyq/7Niu9DZOdRB3y4ZPZ0i5ok/img.png)
nmcli networking on 을 사용해야 [연결됨]으로 변경
![](https://blog.kakaocdn.net/dn/bTKHyf/btslMm1UgvX/DhKfrCNMCwVpNR6hY4MiyK/img.png)
===================================================
찾아본 결과, 테스트 목적으로 인터페이스를 [비관리]형으로 구성한다고 한다.
nmcli device set ens33 managed yes / no 으로도 변경 가능
![](https://blog.kakaocdn.net/dn/PCqFs/btslK8C57DI/AKotvnFV26Uvvwi3iZAIi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wvADK/btslMbMWuEV/SBGpTxKMugK3RSbuzp8kkk/img.png)
테스트를 어떻게 하길래 해당 상태가 필요한지는 아직 모르겠다,,
'IT > ㄴ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Firewalld & SELinux 해제 (0) | 2023.06.29 |
---|---|
[CentOS] 파일과 디렉터리 구조 [트리구조] (0) | 2023.06.29 |
[CentOS] 점검 명령어 정리 [df / top / free / netstat / Log File 보기] (0) | 2023.06.29 |
[CentOS] nmtui 설정 (0) | 2023.06.28 |
[CentOS] Run Level 확인 및 설정 [init] (0) | 2023.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