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ㄴ Gaining Access' 카테고리의 글 목록
Nowhere 와 Now here 의 차이
반응형

IT/ㄴ Gaining Access 6

[Linux] Veil으로 백도어 생성하기 [Client-Side Attack / 백도어]

- [Linux] 백도어 생성 도구 Veil 설치 [Client-Side Attack] 에 이어서 백도어를 생성해보자. [Linux] 백도어 생성 도구 Veil 설치 [Client-Side Attack] - 백도어는 해당 장비의 전체 권한을 줄 수 있는 파일이다. - 백도어는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으로 잡을 수 있다. - Veil은 백신프로그램으로도 탐지되지 않는 백도어 생성 도구다. [Veil Github] GitHu a-gyuuuu.tistory.com [Veil으로 백도어 생성하기] 1. 페이로드 선택 및 설정 - go/meterpreter/rev_https.py 선택 - reverse / https => 역방향 https 연결 생성 - 역방향 = 대상 컴퓨터가 공격자의 컴퓨터로 연결 시도 = 백신..

[Linux] 백도어 생성 도구 Veil 설치 [Client-Side Attack]

- 백도어는 해당 장비의 전체 권한을 줄 수 있는 파일이다. - 백도어는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으로 잡을 수 있다. - Veil은 백신프로그램으로도 탐지되지 않는 백도어 생성 도구다. [Veil Github] GitHub - Veil-Framework/Veil-Evasion: Veil Evasion is no longer supported, use Veil 3.0! Veil Evasion is no longer supported, use Veil 3.0! - GitHub - Veil-Framework/Veil-Evasion: Veil Evasion is no longer supported, use Veil 3.0! github.com [백도어 생성 도구 Veil 설치] 1. Veil 설치 - 아래와 같이..

[Linux] 취약점 관리 프레임워크 Nexpose 설치 및 훑어보기

TRANSLATE with x English Arabic Hebrew Polish Bulgarian Hindi Portuguese Catalan Hmong Daw Romanian Chinese Simplified Hungarian Russian Chinese Traditional Indonesian Slovak Czech Italian Slovenian Danish Japanese Spanish Dutch Klingon Swedish English Korean Thai Estonian Latvian Turkish Finnish Lithuanian Ukrainian French Malay Urdu German Maltese Vietnamese Greek Norwegian Welsh Haitian Creol..

[Linux] Server-Side Attack으로 권한 취득하기 #2 (코드 실행 취약점 공격 / 원격 접속)

- [Linux] Server-Side Attack으로 권한 취득하기 #1 (백도어 취약점 공격 / 원격 접속) 에 이어서 두번째다. [Linux] Server-Side Attack으로 권한 취득하기 #1 (백도어 취약점 공격 / 원격 접속) - [Linux] Server-Side Attack의 시작 (정보 수집 / 취약점 검색) 를 이어서 본격적으로 진행한다. - 이전 글에서도 정보 수집 후 취약점을 발견하여 액세스 권한을 얻었다. - 이번엔 서비스의 백도어 취약 a-gyuuuu.tistory.com - 이번에는 코드 실행 취약점을 이용하여 서버에 침투하려고 한다. - 대상 컴퓨터에 백도어가 있는 취약점이 아닌 버퍼 오퍼플로우나 코드 실행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을 공격한다. - 짧은 코드를 실행..

[Linux] Server-Side Attack으로 권한 취득하기 #1 (백도어 취약점 공격 / 원격 접속)

- [Linux] Server-Side Attack의 시작 (정보 수집 / 취약점 검색) 를 이어서 본격적으로 진행한다. - 이전 글에서도 정보 수집 후 취약점을 발견하여 액세스 권한을 얻었다. - 이번엔 서비스의 백도어 취약점을 바탕으로 서버의 전체 액세스 권한 탈취한다. [Server-Side Attack으로 권한 취득하기#1] 1. 서비스 취약점 검색 - vsftpd는 Very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Daemon의 약자. - 보안이 취약한 FTP에 보안을 추가한 파일 전송 프로토콜 -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 보안을 강조한 서비스이더라도 취약점은 존재할 수 있으니 해당 버전을 찾아보려고 한다. - 검색 결과 vsftpd 2.3.4 버전의 배포..

[Linux] Server-Side Attack의 시작 (정보 수집 / 취약점 검색)

- 컴퓨터(서버)를 공격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 그 공격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공격 대상자에 대한 정보 수집이 필요하다. - 정보 수집 항목 또한 다양하다. - 운영 체제 서비스 포트 설치된 프로그램 - 백도어 및 서비스 취약점 - 서비스를 잘못 설정한 경우 - 위와 같이 다양한 정보 수집을 시작으로 공격이 진행된다. - 정보 수집 후 서버를 공격하는 것은 권한을 취득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 이러한 공격을 직접 해보고 테스트 용도로 만들어진 서버가 있다. - Metasploit이라고 불리우며, 알려진 취약점들로 구성된 서버다. Metasploit | Penetration Testing Software, Pen Testing Security | Metasploit Find security issu..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