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ㄴ Chrome' 카테고리의 글 목록
Nowhere 와 Now here 의 차이
반응형

IT/ㄴ Chrome 5

[Chrome] 크롬 마우스 오른쪽 복사 방지 해제하는 방법 [개발자 모드]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크롬 웹 스토어에서 제공하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사용하도록 돕는 수 많은 프로그램이 있다. 잘 사용했다가도 안 되는 곳이 많았다. 그러다가 발견한 마우스 오른쪽 복사 방지 해제 방법이다. 거의 모든 곳에서 사용이 가능했다. 1. 웹 사이트 이동 - 마우스 오른쪽 복사를 사용하길 원하는 웹 사이트로 이동한다. 그리고 F12를 누르면 개발자 모드가 열린다. 그 다음,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으로 진입한다. - 하단으로 주욱 내리면 [Debugger] 라는 옵션이 있다. [Disable JavaScript] 의 체크 박스를 눌러서 JavaScript 기능을 꺼버린다. 마우스 버튼 금지를 JavaScript로 제어하는 것 같은데, 이를 체크하면 복사가 가능하다. 물론, ..

IT/ㄴ Chrome 2023.08.30

[Chrome] 크롬 개발자모드에서 Error가 발생한 코드 찾는 방법

.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네트워크 엔지니어에서 인프라 엔지니어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가장 어려운 것이 바로 코딩이다. 세미콜론 하나, 쉼표 하나에 전체 코드가 동작하지 않는 그런 어마어마한 녀석이다. 똑같이 쳤다고 생각했는데 어느 한 구간에서 몇 글자가 없는 것은 다반사고, 동작하면 왜 되는지도 모르고, 안 되면 이게 왜 안 되는지도 모르는 초보다... - 크롬에서 코딩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고 있는데, 내가 개발자 모드를 보게 될 줄은 몰랐다. 인터넷 서핑하다가 잘못 누른 F12로 나오는 개발자 모드가 거슬렸는데 이제는 반갑다. 개발자모드에서는 코드가 어디에 오류가 있는지 알려준다. 그 점을 알아보자. 1. 개발자 모드 진입 - 개발자 모드는 F12로 진입이 가능하다. 그러면 다음과..

IT/ㄴ Chrome 2023.08.30

[Chrome] 크롬 저장된 비밀번호 바로 찾기 [비밀번호 관리자 바로가기 추가]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이제는 크롬을 땔래야 땔수가 없다. (개인적으로) Windows의 기본 웹 브라우저인 Edge는 아직도 어색하고 불편하고 지워야할 것 같은 그런 존재가 되었다. 포맷 후, 필수로 설치하는 것 중 하나가 크롬이다. 그만큼 크롬없이 인터넷을 사용하기란 여간 불편한게 아니다. - 그 중 제일 좋아하는 기능 중 하나는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것이다. Login 폼에 입력되는 계정과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다음에 입력할 때 해당 사이트의 계정과 비밀번호을 불러와서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다양한 사이트의 다양한 패스워드 기준에 맞춰서 가입된 계정을 기억하는 것은 21세기에 불필요한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 그러다가 가끔씩 입력된 패스워드를 알아야하는 경우가 ..

IT/ㄴ Chrome 2023.08.30

[Chrome] 크롬 유튜브 화질 고정하기 [YouTube Auto HD]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유튜브를 사용하는데 어느날부터 화질이 최하로 잡혀서 출력이 되었다. 딱히, 설정한 것도 없었는데 자꾸만 화질이 144p로 잡혀서 재생되길래 원하는 화질로 고정하여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 하나의 프로그램만 추가하면 되었다. 크롬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1. 문제 확인 - 다음과 같이 유튜브 영상을 재상하면 최하 화질로 재생되었다. 2. YouTube Auto HD + FPS 설치하기 - 아래 링크로 이동하여, 프로그램을 추가한다. 설치 시간 소요에는 얼마 걸리지 않는다. YouTube Auto HD + FPS 설치하기 - 설치 후 오른쪽 상단에 HD라는 아이콘과 함께 프로그램이 보인다. 클릭하면, 원하는 화질을 선택할 수 있다. - 새로고침으로 다시..

IT/ㄴ Chrome 2023.08.27

[Chrome] 크롬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및 보안 DNS 끄기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하기 - 점 세개 아이콘을 누른 후 [설정]으로 진입한다. 2.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로 이동한다. 3. 기간을 선택하고 원하는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4. 고급 탭에서는 더욱 더 세분화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 보안 DNS 기능은 보안을 위해 항시 켜져있어야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Hacking 테스트, 특히 DNS Spoofing 테스트 시, 방해(?)가 되는 기능이기 때문에 꺼두어야한다. 1. 보안에 진입한다. 2. 고급 항목에 보면 기본적으로 켜져 있을 것이다. 3. 보안 DNS를 끄고 마음껏 DNS Spoofig 테스트를 해볼 수 있다.(?)

IT/ㄴ Chrome 2023.07.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