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ㄴ GNS3' 카테고리의 글 목록
Nowhere 와 Now here 의 차이
반응형

IT/ㄴ GNS3 6

[Utility] GNS3에서 Wireshark로 패킷 분석하기 [SPAN]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GNS3를 사용하는 수 많은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송/수신하는 패킷을 열어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패킷 캡쳐 프로그램인 Wireshark를 사용하여 가상의 통신장비들 간 오고 가는 패킷을 열어서 확인하고 파헤쳐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과정을 정리하였다. 1. 구성도 및 Configuration - R1 interface FastEthernet0/0 no ip address speed auto half-duplex ! interface FastEthernet0/0.100 encapsulation dot1Q 100 ip address 192.168.100.1 255.255.255.0 ! interface FastEthernet0/0.200 encapsulati..

IT/ㄴ GNS3 2023.07.26

[Window] Cloud를 Switch처럼 사용하여 구성하기 [DNS / Web Server]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패킷트레이서나 GNS3에서도 그렇지만, Switch에 다수의 호스트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테스트를 한다. - 그리고, GNS3의 장점으로 가상 머신을 연동하여 Switch나 Router와 연결하여 일반적인 인프라의 형태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위와 같은 구성으로 진행된다면, 꽤나 복잡하고 지저분할 수 있다. (나는 그렇다,,) - 이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Cloud 장치다. Cloud에 VMnet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Cloud에 설정된 VMnet과 가상 머신의 Network Interface의 VMnet을 동일하게 설정하여, 하나의 스위치에 연결된 것과 같은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 꽤나 간편하게 가상머신 간 연결이 가능하니 알아보자. 0. VM ..

IT/ㄴ GNS3 2023.07.25

[Window] Linux Server 와 GNS3 연동하기 [VMware]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네트워크 필드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서버를 많이 접해볼 길이 없었다. 고작 해봐야 스위치에서 지원하는 명령어로 파일 / 디렉토리 확인 / OS 업그레이드 정도였다. 퇴사하고 나서 인프라의 전반적인 기술을 접해보고 있다. 알아할 것들이 정말 많은데 그 중에서도 Linux 를 중점적으로 보고 있다. - 인프라 구축의 시작은 네트워크로 시작하지만, 인프라 운영에서 네트워크 비중보다는 OS / 가상화 / 클라우드가 더욱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LAMP 서버를 구축해보는 것을 목표로 Linux의 전반적인 내용을 습득하려고 한다. 그래서 GNS3에서 스위치와 라우터로만 네트워크를 만들었다면, 여기에 가상 Linux Server를 연동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IT/ㄴ GNS3 2023.07.22

[Window] CISCO ASA 이미지 추가하기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이전까지는 라우터와 스위치만 추가하여 GNS3를 사용해보았다. 어떻게 CISCO ASA 이미지 파일을 구하게 되었고, CISCO 사의 보안 장비를 추가하여 더 많은 테스트를 할 수 있게 되었다. Axgate만 조금 해보다가, 퇴사하게 되었는데 테스트하고 공부해볼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흥미롭다. 이전 설치보다 조금 더 추가된 설정이 있을 뿐 간단하다. 1. [Preferences] - [Qemu VMs]로 이동한다. - [New]를 눌러 진행한다. 2. [Run this Qemu VM on the GNS3 VM] 을 선택하고 넘어간다. 3. 이름을 간단하게 지정하고 넘어간다. 4. RAM 용량을 지정한다. - 넉넉하게 잡고 지정했다. 5. Console 타입 ..

IT/ㄴ GNS3 2023.07.18

[Window] IOS 이미지 추가하기 [CISCO]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GNS3 설치 후에는 테스트를 위해서 장비 이미지를 추가해야한다. 대부분 GNS3를 이용하는 이유는 시스코 장비 이미지를 추가하여 테스트나 시험 대비용으로 사용한다/ 여기서 문제는 IOS 파일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저작권 문제로 구글링이 필수다. 파일도 다양해서 정리가 필요했고, IOS나 IOSv 차이점까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추가부터 진행했다. 두 가지 방식을 소개할 예정인데, 각자 가지고 있는 파일의 확장자를 보고 진행하면 된다. 1. [Preferences] 로 이동하여 [IOS routers] - [New] 를 눌러 새로운 장비를 추가한다. 2. [Run this IOS router on the GNS3 VM] 를 선택한다. 3. New Imag..

IT/ㄴ GNS3 2023.07.18

[Window] GNS3 초기 설치 방법 [편의 기능 설명]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패킷 트레이서도 충분히 좋은 네트워크 교육 / 테스트 프로그램이지만, GNS3와는 비교할 수 없다. https://www.gns3.com/ Incompatible Browser! Looks like you're using an older browser. To get the best experience, please upgrade. UPGRADE MY BROWSER www.gns3.com - 가상의 환경에서 실제 장비의 이미지를 구동하여, 실제 장비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환경에서 여러가지 테스트를 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 그래서, 컴퓨터의 사양을 조금 타기도 하지만 엥간하면 원활하게 구동가능하다. - 지금까지는 패킷 트레이서로 이론을 정리하고 테스트를 진..

IT/ㄴ GNS3 2023.07.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