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국비지원 교육 내용 정리
-Switch는 Collision Domain을 분할하지만 Broadcast Domain을 공유한다.
- 문제 : Host가 증가할수록 Broadcast Traffic도 함께 증가.
- 이유 : 해당 Switch의 모든 Port는 하나의 VLAN에 포함되어진다. (Default VLAN : VLAN 1)
- 해결 : VLAN을 사용하여 물리적인 분할이 아닌 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분할할수있다.
- 장점 : Broadcast Traffic을 분할하여 효율적인 LAN을 구성하여 통신이 가능하며
위치적 , 물리적으로 제한없이 연결이 가능하다.
ex)15층 1강의장의 장비를 1층 1강의장의 네트워크에 넣을 수 있다.
즉, 위치적, 물리적으로 제한없이 논리적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 VLAN은 12bit로 구성된다 (0 ~ 4095)
0 , 4095는 System에서 사용되도록 예약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이 가능한 VLAN은 1~4094까지이다.
- VLAN은 용도에 따라서 Standard VLAN과 Extended VLAN으로 사용이 가능
Standard VLAN : 1~1005 (1 , 1002 , 1003 , 1004 , 1005은 예약된 VLAN)
Extended VLAN : 1006 ~ 4094
# Switchport L2의 모드는 두가지가 있다.
- Access Mode
하나의 Switchport로 하나의 VLAN을 사용하여 통신
PC , Server와 같은 단말 장비 , VLAN을 지원하지 않는 장비가 연결되는 Port
- Trunk Mode
하나의 Switchport로 다수의 VLAN을 사용하여 통신
Switch , IP Phone과 같은 VLAN을 지원하는 장비가 연결되는 Port
## Trunk
-Switch와 Switch간 연결시 Access mode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하는 VLAN수만큼의
Link를 연결하여 사용해야하기때문에 비 효율적인 연결을 하게된다
하지만 Trunk Mode를 사용하여 연결하게되면 하나의 Link를 사용하여
다수의 VLAN을 사용한 통신이 가능하다.
-Trunk는 구성 방식에따라 IEEE.802.1Q와 ISL을 사용하여 설정이 가능하다.
IEEE.802.1Q : IEEE에서 지정한 LAN구간 표준 Trunk Protocol
ISL : Cisco Switch전용 Trunk Protocol
- Dot1q와 ISL의 가장 큰 차이점은 Native VLAN의 지원 유/무이다.
입력되는 트래픽에 VLAN정보가 포함되지 않게되면
Dot1q는 해당 정보를 Native VLAN(Default = VLAN 1)으로 처리하는 반면
ISL은 자신의 내부 정보가 아닌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정보를 Drop실시
'IT > ㄴ Cis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IPv6 HSRP (0) | 2023.06.27 |
---|---|
[CISCO] VRRP (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기초 (0) | 2023.06.27 |
[CISCO] HSRP (Host Standby Router Protocol) 알아보기 [Packet Tracer] (0) | 2023.06.27 |
[CISCO] STP (Spanning-Tree Protocol) 기초 (0) | 2023.06.27 |
[CISCO] Switch 개요 (0) | 202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