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국비지원 교육 내용 정리
# Switch
- Layer 2의 대표 장비
- 자신이 포함된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비와 통신시 사용되는 장비
- Ethernet Header에 포함된 Mac-address를 사용하여 통신을 실시
(16진수 , 48bit : HH-HH-HH-HH-HH-HH)
00 ~ :Unicat
01 ~ :Multicast
FF ~ :Broadcast
- Switch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Ethernet Header의 목적지 Mac-address를 근거로 Mac-address Table을 참조하여 Forwarding실시
- Collision Domain을 분할하며 Broadcast Domain을 공유하는 장비
- Cisco IOS에 의존하는 하드웨어 기반 장비
* 하나의 포트가 하나의 콜리전 도메인
* 스위치 한 대는 곧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 Switch의 동작원리
1. Learning 수신 포트 번호와 출발지 MAC 주소를 Mac-address-table에 등록하는 동작 과정
2. Aging 5분동안 테이블에 등록된 MAC주소가 프레임 전송을 하지 않으면
해당 MAC주소는 MAC테이블에서 제거되는 과정 (영원히 저장되는 것이 아님)
a. Leaning 후 5분동안 등록된 MAC주소가 전송하지 않으면 해당 MAC주소는 제거된다.
b. Leaning 후 5분내로 등록된 MAC주소가 전송되면 Aging Time이 5분으로 리셋된다.
3. Flooding 수신한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로 해당 정보를 복사하여 전송하는 과정
4. Filtering 다른 포트로는 못 건너가게 막는 과정
5. Forwarding 해당 포트로 건네주는 과정
* Collision Domain을 분할하는 것은 Filtering 때문이다.
Frame 안에 목적지 MAC 주소와 Switch가 가진 MAC 주소 테이블을 확인하고 Filtering하기 때문
[CISCO] STP (Spanning-Tree Protocol) 기초
'IT > ㄴ Cis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IPv6 HSRP (0) | 2023.06.27 |
---|---|
[CISCO] VRRP (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기초 (0) | 2023.06.27 |
[CISCO] HSRP (Host Standby Router Protocol) 알아보기 [Packet Tracer] (0) | 2023.06.27 |
[CISCO] STP (Spanning-Tree Protocol) 기초 (0) | 2023.06.27 |
[CISCO] VLAN (Virtual LAN) 기초 (0) | 202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