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AC-in-IP와 MAC-in-UDP의 차이점
MAC-in-IP와 MAC-in-UDP는 Layer 2 프레임(MAC 기반 트래픽)을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캡슐화 방식이다. 두 방식은 유사해 보이지만 동작 방식, 목적, 효율성 등에서 차이가 있다.
1. MAC-in-IP
MAC 프레임을 IP 헤더로 캡슐화하여 Layer 3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이다.
특징
- 캡슐화 구조:
- MAC 프레임이 IP 헤더의 페이로드로 포함된다.
- 추가적인 UDP 헤더가 없으므로 캡슐화가 단순하다.
- 사용 사례:
- Cisco OTV(Overlay Transport Virtualization)에서 주로 사용된다.
- 주로 멀티캐스트 기반 전송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한다.
- 멀티캐스트 활용:
- MAC 프레임이 캡슐화된 IP 패킷을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송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 OTV Edge 장치로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 장점:
- 캡슐화가 간단하고 오버헤드가 적다.
- 멀티캐스트를 활용해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한다.
- 단점:
- 멀티캐스트가 지원되지 않는 네트워크에서는 유니캐스트로 동작하며, 이 경우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 세분화된 트래픽 분리가 어렵다.
2. MAC-in-UDP
MAC 프레임을 UDP 헤더와 함께 캡슐화하여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이다.
특징
- 캡슐화 구조:
- MAC 프레임이 UDP 페이로드로 포함되며, UDP 헤더가 추가된다.
- IP 헤더는 UDP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상위 계층 헤더로 사용된다.
- 사용 사례:
- VXLAN(예: Virtual Extensible LAN)에서 주로 사용된다.
- 주로 멀티테넌트 환경에서 가상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데 활용된다.
- 멀티캐스트 및 유니캐스트:
- 멀티캐스트와 유니캐스트 모두 효율적으로 지원하며, 멀티캐스트 지원이 없는 네트워크에서도 유니캐스트를 통해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 가상 네트워크 ID (VNI):
- VXLAN 헤더를 통해 가상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24비트 VNI를 포함한다.
- 이를 통해 세분화된 트래픽 분리와 멀티테넌트 환경을 지원한다.
- 장점:
- 멀티캐스트가 지원되지 않는 네트워크에서도 효율적이다.
- VNI를 통해 트래픽 분리와 확장이 용이하다.
- 단점:
- 추가적인 UDP 헤더와 VXLAN 헤더로 인해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 MAC-in-IP보다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3. 차이점 비교표
특징 | MAC-in-IP | MAC-in-UDP |
캡슐화 구조 | MAC 프레임을 IP 헤더에 캡슐화 | MAC 프레임을 UDP 헤더와 VXLAN 헤더를 포함한 IP 헤더에 캡슐화 |
주요 프로토콜 | Cisco OTV | VXLAN |
오버헤드 | 적음 (IP 헤더만 추가됨) | 많음 (UDP 헤더와 VXLAN 헤더 추가) |
멀티캐스트 지원 | 멀티캐스트가 효율적으로 지원됨 | 멀티캐스트와 유니캐스트 모두 효율적으로 지원 |
멀티테넌트 지원 | 기본적으로 미지원 | VNI를 통해 멀티테넌트 환경에서 네트워크 분리 지원 |
구현 복잡도 | 상대적으로 간단 | 비교적 복잡 |
사용 사례 | Cisco OTV를 통한 데이터센터 간 Layer 2 확장 | VXLAN을 통한 데이터센터 및 가상 네트워크 확장 |
전송 네트워크 | 멀티캐스트 기반 네트워크에서 최적화 | 멀티캐스트가 없는 네트워크에서도 유니캐스트로 동작 가능 |
트래픽 세분화 | 없음 | VNI를 통해 가능 |
4. 요약
- MAC-in-IP는 단순한 캡슐화 방식으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이며, 오버헤드가 적고 구현이 간단하다. Cisco OTV와 같은 데이터센터 간 Layer 2 확장에 주로 사용된다.
- MAC-in-UDP는 VXLAN과 같은 가상 네트워크 확장 기술에서 사용되며, 멀티캐스트와 유니캐스트 모두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VNI를 통해 트래픽을 세분화하고 멀티테넌트를 지원한다.
MAC-in-IP는 전송 단순성에 중점을 두고, MAC-in-UDP는 트래픽 세분화와 확장성에 중점을 둔다. 용도와 네트워크 요구 사항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면 된다.
[VxLAN] VxLAN을 사용하는 이유
3일동안의 시행착오 끝에 VxLAN 패킷을 확인할 수 있었다. EVE-NG 설치, Intel VT-X/EPT 오류 잡기, Nexus 9K 이미지 설치 및 기타 등등 시작부터 난관을 겪었다. 오로지 VxLAN 패킷을 한번 보고 싶어서, 직접
a-gyuuuu.tistory.com
[정리] OTV(Overlay Transport Virtualization) 기초 이론
[정리] OTV(Overlay Transport Virtualization) 기초 이론
OTV (Overlay Transport Virtualization)란? OTV는 Cisco의 독자적인 기술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여러 데이터 센터 또는 사이트 간에 Layer 2 연결을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센터 간 워크
a-gyuuuu.tistory.com
반응형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SMTP Command 알아보기 [Wireshark / ChatGPT] (0) | 2023.09.13 |
---|---|
[Network] DMZ를 구성하는 이유는? (0) | 2023.09.07 |
[Network] Wireshark로 IPSec 통신 과정 살펴보기 [GNS3 / Wireshark] (0) | 2023.08.14 |
[Network] IPSec 알아보기 (0) | 2023.08.14 |
[Network] Wireshark로 SSL/TLS 통신 과정 살펴보기 (0) | 2023.08.11 |